2023학년도 수능 영어 기출 문제 해설 (6) - 홀수형 33번
02 Dec 20222023학년도 수능 영어 홀수형 33번 문제는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 고르기입니다.
The entrance to a honeybee colony, often referred to as the dancefloor, is a market place for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colony and the environment outside the hive. Studying interactions on the dancefloor provides us with a number of illustrative examples of how individuals changing their own behavior in response to local inform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For example, upon returning to their hive honeybees that have collected water search out a receiver bee to unload their water to within the hive. If this search time is short then the returning bee is more likely to perform a waggle dance to recruit others to the water source. Conversely, if this search time is long then the bee is more likely to give up collecting water. Since receiver bees will only accept water if they require it, either for themselves or to pass on to other bees and brood, this unloading time is correlated with the colony’s overall need of water. Thus the individual water forager’s response to unloading time (up or down) regulates water collection in response to the colony’s need.
이런 문제를 풀 때는, 사례를 제시하는 “예컨대(For example)”라는 표현에 주목해야 합니다. 개념을 정의하거나, 중요한 사실을 설명한 다음에 사례를 드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리고 “예컨대(For example)”, “반대로(Conversely)”, “때문에(Since)”, “그러므로(Thus)”로 이어지는 문장의 연결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Since” 다음에 미래 시제(will accept)가 나왔기 때문에, “Since”는 “때문에”라는 의미입니다. “Since” 다음에 과거 시제나 과거 완료 시제가 나올 때만, “Since”는 “~이래, ~이후에”라는 의미입니다.
For example, upon returning to their hive honeybees that have collected water search out a receiver bee to unload their water to within the hive. If this search time is short then the returning bee is more likely to perform a waggle dance to recruit others to the water source. Conversely, if this search time is long then the bee is more likely to give up collecting water. Since receiver bees will only accept water if they require it, either for themselves or to pass on to other bees and brood, this unloading time is correlated with the colony’s overall need of water. Thus the individual water forager’s response to unloading time (up or down) regulates water collection in response to the colony’s need.
결국 빈 칸에 들어갈 내용은 “예컨대 ~ 하고, 반대로 ~ 하지만, ~ 때문에 ~ 하고, 그러므로 ~ 하다”에서 마지막 “그러므로 ~ 하다”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앞에 있는 내용이 “그러므로(Thus)” 다음에서 종합되고 결론으로 수렴되기 때문입니다.
Studying interactions on the dancefloor provides us with a number of illustrative examples of how individuals changing their own behavior in response to local inform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rovide A with B”는 “A에게 B을 제공하다”는 의미입니다. 의문사 “how”가 이끄는 명사절에서 주어는 “개체들(individuals)”이지만, 술부(자동사와 보어, 타동사와 목적어)는 빈칸에 있습니다. “changing ~”은 주어인 “개체들(individuals)”을 꾸며주는 현재분사 형용사구입니다.
“무도장에서 벌어지는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우리에게 많은 실례를 제공합니다. 현지 정보에 따라 자신들의 행동을 바꾸는 개체들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는 방식에 대하여.” [“무도장에서 벌어지는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우리에게 현지 정보에 따라 자신들의 행동을 바꾸는 개체들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는 방식에 관한 많은 실례를 제공합니다.”]
무도장(dancefloor)이 무엇인지는 그 앞 문장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The entrance to a honeybee colony, often referred to as the dancefloor, is a market place for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colony and the environment outside the hive. “colony”는 “식민지, 거주지”라는 의미이지만, “군집, 군락”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individual”은 사회(society)를 이루는 “개인”이라는 의미지만, 군집을 형성하는 “개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그리고 “꿀벌 군집(honeybee colony)”과 “벌집(hive)”은 동의어입니다.
“꿀벌 군집의 입구는, 종종 무도장이라고 언급되는, 장터입니다. 정보가 교환되는. 꿀벌 군집과 벌집 밖의 상태에 관한.” [“종종 무도장이라고 언급되는 꿀벌 군집의 입구는 꿀벌 군집의 상태와 벌집 밖의 환경에 관한 정보가 교환되는 장터입니다.”] 한마디로 무도장[입구]은 벌집 안과 밖의 정보가 교환되는 곳입니다.
그러면 마지막 문장을 볼까요? Thus the individual water forager’s response to unloading time (up or down) regulates water collection in response to the colony’s need. “forage”는 “사료: 사료를 주다, 식량을 찾다”라는 의미이고, “forager”는 “식량을 찾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당연히 “물을 수집하는 꿀벌(water forager)”을 의미합니다. “regulate”는 “규제하다, 통제하다”는 의미도 있고, “조절하다, 조정하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하역 시간이 많이 걸리느냐 적게 걸리느냐에 따라 물 수집을 조정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개별적인 물 수집자의 반응은, 하역 시간에 대한 (늘든 줄든), 물 수집을 조정합니다. 군집의 필요에 따라.” [“그러므로 (늘든 줄든) 하역 시간에 대한 개별적인 물 수집자의 반응은 군집의 필요에 따라 물 수집을 조정합니다.”] 물을 수집해온 꿀벌이 자신이 수집해온 물이 얼마나 빨리 하역되느냐에 따라 군집이 얼마나 물을 필요로 하는지 가늠하고, 물을 더 많이 수집해야 할지 더 적게 수집해야 할지 결정한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한번 빈칸이 있는 문장을 볼까요? Studying interactions on the dancefloor provides us with a number of illustrative examples of how individuals changing their own behavior in response to local inform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여기서 말하는 “현지 정보(local information)”은 “하역 시간(unloading time)”입니다. 하역 시간이라는 현지 정보에 대응하여 자신의 행동을 바꾸는 개체가 군집의 필요에 따라 물을 얼마나 수집해야 할지 조정하는 방식에 관한 많은 실례가 제공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빈칸에 들어갈 말은 하역시간이라는 현지 정보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바꾸는 개체가 “군집이 노동력을 조절하도록 하는(allow the colony to regulate it workforce)” 방식일까요, “거리를 측정하여 물의 원천을 찾는(search for water sources by measuring distance)” 방식일까요, “필요할 때 군집의 작업량을 줄이는(decrease the colony’s workload when necessary)” 방식일까요, “각자의 재능에 따라 분업하는(divide task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talents)” 방식일까요, “일벌에게 기본적인 의사 소통 형태를 획득하도록 훈련시키는(train workers to acquire basic communication patterns)” 방식일까요?
당연히 “군집의 필요에 따라 물(을 얼마나) 수집(해야 할지)을(를) 조정하는(regulate water collection in response to the colony’s need)” 방식은 “군집이 노동력을 조절하도록 하는(allow the colony to regulate its workforce)” 방식입니다. 이 문제 역시 바꾸어 표현하기(paraphrasing) 문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바꾸어 표현하기는 영어의 정수이고, 핵심이고, 본질입니다.
외국어를 습득하는 지름길 중의 하나가 그 언어를 모어(mother tongue)로 구사하는 사람과 사귀는 것입니다. 우정 혹은 사랑은 상대방의 마음을 가장 깊게 이해해야 가능한 인간 관계입니다. 인간의 모든 사고와 감정은 언어의 지배를 받습니다. 사피어-워프 가설(Sapir-Whorf hypothesis)은 언어가 인간 사고를 결정한다는 이론입니다. 인간에게 가능한 모든 사고와 감정은 모어로 구사하는 언어에 따라 미리 결정됩니다. 영어 사용자는 영어라는 언어의 방식대로 생각하고 느낍니다. 영어를 모어로 구사하는 사람의 사고와 감정은 영어를 통해 파악할 수 있지만, 반대로 영어 사용자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하면 영어를 쉽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대학에 입학하면, 영어를 모어로 구사하는 사람과 깊은 우정을 맺어보기 바랍니다.
그러면 나머지 부분도 간단하게 살펴볼까요? For example, upon returning to their hive honeybees that have collected water search out a receiver bee to unload their water to within the hive. “예컨대, 벌집으로 돌아오자마자 물을 수집해온 꿀벌은 벌집 안으로 수집해온 물을 하역하기 위해 수령자 벌꿀을 찾습니다.”
If this search time is short then the returning bee is more likely to perform a waggle dance to recruit others to the water source. “[수령자 벌꿀을] 찾는 시간이 짧으면, [물을 수집해] 돌아온 벌은 다른 벌들을 물의 원천으로 이끌기 위해 8자 춤을 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8자 춤(waggle dance)”는 꿀벌이 화밀(nectar)이 있는 꽃의 방향과 거리를 동료 꿀벌에게 알려주는 동작입니다. “recruit”는 “모집하다, 징집하다, 설득하다”는 의미입니다.
Conversely, if this search time is long then the bee is more likely to give up collecting water. “반대로, [수령자 벌꿀을] 찾는 시간이 길면, 꿀벌은 물을 수집하는 것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Since receiver bees will only accept water if they require it, either for themselves or to pass on to other bees and brood, this unloading time is correlated with the colony’s overall need of water. “수령자 꿀벌은 자신이 필요하거나 다른 꿀벌이나 애벌레에게 넘겨줄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물을 받아들일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하역 시간은 꿀벌 군집 전체의 물 수요와 상관 관계에 있습니다.”
“상관 관계(correlation)”는 “인과 관계(causality)”와 다릅니다. 상관 관계는 특정한 통계적 변화 요인이 다른 통계적 변화 요인과 함께 변하는 함수 관계를 의미합니다. 인과 관계는 선행하는 변화 요인과 후행하는 다른 변화 요인이 각각 원인과 결과가 되는 관계입니다.
어떤가요? 별로 어렵지 않게 문제를 풀 수 있겠지요? 수능 영어에서 확실하게 1등급을 받으려면 독해력과 사고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수능 영어에 필요한 독해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동반자로 156개 챕터로 이루어진 “막힘 없는 수능 영어 독해”를 추천합니다. “막힘 없는 수능 영어 독해”는 하루에 한 챕터씩 6개월 동안, 혹은 이틀에 한 챕터씩 1년 동안 공부하여 언제든지 수능 영어에서 만점을 받을 수 있는 독해력과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교재입니다. “수능 영어 영역에서 항상 1등급을 받는 비결”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이 글을 읽는 학생들 모두가 수능 영어 100점 만점을 받기 바랍니다.
“수능 영어 1등급 과정” 튜터링 문의와 “막힘 없는 수능 영어 독해” 구입에 관한 문의는 “tutorchung@gmail.com”이나 카카오톡 ID “Tutor Chung”으로 연락 주시면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 전자우편 : tutorchung@gmail.com
▶ 카카오톡 : Tutor Chung (ID/플러스친구 검색)